철도노조 1차 파업 뒤 추가 파업 예고
14일 대전지부 1800여명 대전역 동광장 운집 예고
국토부, 철도노조 파업계획 철회 촉구

4년 만의 전국철도노조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당장 출근길 열차 운행부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추가 파업이 예고돼 있는 만큼 추석 연휴기간까지 파업이 이어질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노조에 따르면 이번 파업은 14~18일로 기한을 정해 둔 경고성 1차 파업이다. 앞서 노조는 전체 노조원 2만 1938명 중 64.4%에 달하는 1만 9825명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하고 파업 일정을 조율해 왔다.
노조는 ▲부산~수서 노선 감축 철회 및 수서행 KTX 운행 ▲성실 교섭 촉구 및 합의이행 ▲4조2교대 시행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추가 파업에 나설 수 있다는 게 노조 측 입장이다.
이번 파업은 5일간에 불과하나 여객·화물 운행률은 단기간 크게 하락할 전망이다. 지난 2019년 노조가 5일간 총파업에 돌입했을 당시 화물열차 운행률은 20%선까지 하락했고 일반열차 운행률은 70%를 밑돈 바 있다. KTX를 포함한 운행률은 80% 수준에 그쳤다.
노조는 14일 총파업 돌입과 함께 서울과 부산, 대전, 영주, 광주역에서 각각 파업 출정식을 가질 계획이다. 대전에서는 1800여 명의 노조원들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앞서 SR(수서고속철도)이 발주한 열차 112량의 정비와 고객센터 업무를 민간기업에 맡긴 점에 대해 ‘철도 쪼개기 민영화’라며 반발해 왔다. 국토부는 노조 주장에 대해 “억측”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국토부가 부산~수서 고속열차를 11% 이상(하루 4100여 석) 축소해 전라·동해·경전선에 투입하기로 한 방안 역시 철도 분할체제를 고착화하는 민영화 포석이라고 노조는 보고 있다.
한국철도(코레일)와 국토부는 노조의 총파업 결정을 규탄하면서 비상대책본부 가동 등 수송 대책을 마련한 상태다.
또 추석명절과 연휴 등 관광수요가 증가하는 중요한 시기에 국민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파업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으로 철도노조에 촉구하는 한편,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계획이다.
철도노조 대전지역본부 관계자는 “4조 2교대는 현장 근로자의 극한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한 근무체계로 노사가 합의한 사항이기도 하다”며 “그러나 노사 합의 후 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전면 시행이 미뤄지고 있다. 총파업은 현장 근로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절실한 요구에 따라 진행될 것”이라고 총파업 의의를 강조했다.
한편, 4조 2교대 근무제의 전면 도입을 요구하는 총파업은 지난 2019년에도 진행됐다. 당시 철도노조는 11월 20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지만, 사측과의 협상 타결로 닷새 만인 같은 달 25일 파업을 철회한 바 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