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회전 일시정지, 보행자 우선도로 등
정책 다수지만... 거리 점령한 ‘스몸비’
전문가 “교통정온화와 인식개선 병행해야”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보행자 중심 교통안전 정책이 진통을 겪고 있다. 보행자 중심 교통안전 문화를 확산하고자 우회전 일시정지, 보행자 우선도로, 안전속도5030 등이 도입·추진 중이지만 ‘스몸비, 블좀족’, 무단횡단 등 일부 보행자들의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교통안전 문화가 정착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5일 기준 대전 내 보행자우선도로는 모두 4곳이다. 우회전 시 교통사고가 우려되는 3개 교차로에는 일시정지 신호등이 설치됐다.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 이후 지난 1~5월 교차로 우회전 교통사고는 20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6%(253건) 감소하는 등 보행자 중심 교통안전 정책이 자리를 잡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수치로 증명된 효과와 달리 현장에서는 운전자와 보행자 사이에 아쉬움의 소리가 나온다.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정착을 위해 각종 정책은 시행되지만 정작 보행자는 교통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낮은 경우가 많다는 게 이유다. 스마트폰만 본 채 횡단보도를 건너는 스몸비나 블루투스 이어폰은 귀에 꽂고 스마트폰만 응시하는 블좀족이 대표적이다. 또 무단횡단 등 법규를 위반하는 이들도 운전자들을 힘들게 만든다.

대전시민 A(30·여) 씨는 “얼마 전 운전을 하던 중 갑자기 사람이 뛰어나와 놀란 적 있는데 이어폰을 꽂은 채 스마트폰만 바라보고 있어서 부딪힐 뻔한 것도 모르고 그냥 갔다.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운전자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각종 제재가 생기니 조심스럽게 주시하며 운전을 하는데 정작 보행자는 이런 부분이 없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차대 보행자 간(차도 통행 중) 사고 현황은 2020년 393건, 2021년 356건, 지난해 446건 등 모두 1195건이다.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정책이 계속해서 나오지만 사고는 크게 줄지 않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문화를 정학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보행자 중심의 도로를 구축하면서 교통안전 인식개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국가는 보행자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차량의 경우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지만 보행자는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렵다. 보행자의 특성을 최대한 배려해 설계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보행자 중심의 핵심은 차도를 보행자 등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도로설계의 핵심은 보행자 중심의 차 없는 도로와 구조를 먼저 만들고 인식개선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