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을린 건물 위로 내린 흰 눈이 마음을 더 아프게 했다
“20년을 이 시장에서 생선을 팔았는데 순식간에 물거품이 됐어요. 아무것도 나한테 남은 게 없어요. 대목 앞두고 준비를 다 해놓은 상태였는데….”
적막과 함께 아름다운 눈꽃이 내리던 22일 밤 11시경 충남 서천의 수산물특화시장에 화마(火魔)가 덮쳤다. 수산물동 1층 점포에서 스파크가 튀면서 시작된 불은 강한 겨울바람에 속절없이 번졌고 시장 내 점포 292개 가운데 수산물동, 일반동 등 점포 227개가 전소됐다. 9시간 넘는 진통을 앓던 특화시장이 전통과 함께 무너져 내린 것이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대목을 앞두고 있던 상인들은 날벼락을 맞았고 이들을 대하는 정부의 태도에 큰 인심피해(人心被害)가 발생했다.
[르포]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
시장 292개 점포 중 227개 전소
“불로 20년 생업 잃어…생계 막막”
尹 대통령 얼굴만 비추고 돌아가
영상=충남소방본부 제공
23일 낮 12시 50분경 불이 꺼진 현장에 순백의 눈이 계속 내리고 있었다. 눈은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무해한 모습으로 특화시장의 상처를 지우고 있었다. 코를 뚫고 들어오는 매캐한 탄내만이 화재 현장임을 증명해 줬다. 그제야 까맣게 그을리고 탄 특화시장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고 목적을 잃고 널브러진 철골 구조물과 노란색 출입 통제선이 서서히 보였다.
화재로 피해 본 상인들은 인근 먹거리동 2층으로 피신한 상태였다. 하루아침에 생계를 잃고 막막해진 상인의 공허한 눈동자가 서로를 비췄다. 갈 곳 잃은 처지에 의지할 곳이 서로밖에 없다. 대비책을 기다리는 이들 사이에서 하소연과 울분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수산물시장 상인 A 씨는 붉어진 눈으로 “설 전에 문자로 전국에서 예약 주문이 밀려 들어와 선수금을 받은 상태다. 생선도 미리 말려놓으려고 반건조장에 널어놓고…. 설맞이 준비하고 퇴근한 건데 다 타버리고 재가 쌓여서 전부 쓰레기가 돼버렸다”라고 하소연했다.
피해를 본 건 수산물시장만이 아니었다. 잡화 점포 등 일반동에서 장사하던 상인도 마찬가지였다.
일반동 상인 B 씨는 “당장 내달부터 걱정이다. 상인은 장사해야 생계를 유지하는데 다 불에 타버리고 남은 게 없으니…. 말로는 시장 주차장을 이용해서 장사를 다시 하게 해준다는데 그러면 방문 손님은 차를 어디에 주차하라는 건지 모르겠다”라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이어 “김태흠 충남지사는 건물 철거하고 재건축하는 기간을 1년 정도로 잡고 말씀하시는데 공사도 해봐야 아는 거 아닌가 싶다. 실제 그게 1년이 걸릴지 2년이 걸릴지 확실한 게 없는 상황이지 않은가. 생계를 잃어버린 상인은 그 동안 무엇을 해 먹고 살아야 하는지 막막하다”라고 벅차오르는 감정을 애써 삼키며 말했다.
그러면서 “화재 피해가 발생한 수산물동, 일반동만 생계가 막막해진 게 아니다. 채소든 과일이든 연기를 먹고 재가 쌓여 농산물동도 피해를 봤다. 수산물 사러 왔다 채소도 사는 손님이 많은데 모두 다 막막한 심정이다”라고 덧붙였다.
넋을 잃은 채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앉아 침묵만이 상인을 위로하는데 바깥에서 울분에 찬 외침이 들려왔다.

“아니 얼굴은 보고 가야 하는 거 아니에요? 불구경하러 온 것도 아니고 왜 그냥 가는 거예요! 대통령님 오신다 해 잠도 못 자고 오전 7시부터 기다렸는데. 적어도 피해 상인 얼굴은 보고 가야 하는 거 아니냐고요.”
한 상인이 울부짖자 옆에 있던 피해 상인도 하나둘씩 거들기 시작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방문한다는 소식에 2층에 붙들려 있던 상인들이 1층으로 내려가기 시작했다. 출입문은 다수의 경호원이 막고 있었다.
“이쪽으로는 못 나갑니다. 뒷문으로 돌아 나가세요.”
왜 못 나가냐 소리치는 상인에게 경호원은 같은 말을 반복했다. 대책을 말해주겠다던 이들은 그 누구도 보이지 않았고 막무가내로 문을 봉쇄한 경호원에 상인은 울며 뒷문으로 빠져나갔다. 그러나 밖에도 억울함을 호소하는 상인의 말을 귀 기울여 들어주는 이는 없었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내리치는 눈보라를 타고 울분이 흩어졌다. 특화시장과 달리 길거리는 새하얀 도화지처럼 깨끗했다. 점이라도 찍힐 줄 알았던 백지엔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았다. 뭉뚱그린 발도장보다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한 때, 적재적소에 맞는 정부의 지원안이 그려지길 기대한다.
글·사진=김동은·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