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반대 많은데 고집부려 임명 강행”
사실상 거취 재검토 필요성 시사

▲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스퀘어 건물에 도착,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속보>=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둘러싼 뉴라이트 논란이 새 정부 보훈정책의 첫 인사 검증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국민의 시선을 강조하며 사실상 거취 재검토 필요성을 시사하면서다. <본보 6월 16일자 2면 등 보도>

이재명정부 첫 보훈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권 전 의원이 김 관장 인선을 두고 “그렇게 반대가 많으면 한 번 더 생각해보는 게 좋지 않았을까”라고 말하며 인사 판단의 책임을 언급했다. 청문회를 앞둔 출근길 발언이어서 김 관장의 거취 문제가 새 정부의 인사 기준과 역사관에 대한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권 후보자는 25일 청문회 준비를 위해 마련된 서울역 앞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임명권자도, 관장도 참 고집을 부리셨다. 사회적으로 반대 여론이 컸던 만큼 안타깝게 봤다”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상황을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국민이 어떻게 보는지를 고려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김 관장은 지난해 8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명으로 취임했으며 과거 뉴라이트 역사 해석과 관련된 발언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독립운동가 후손단체와 광복회, 관련 학계와 지방의회, 공무원 노조까지 연이어 사퇴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권 후보자의 발언으로 김 관장을 둘러싼 논란은 인사청문회에서도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국가보훈 정책과 직접 관련된 공공기관 인사에 대해 어떤 역사 인식과 사회적 기준을 적용할지에 대한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권 후보자의 발언은 이와 같은 논의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읽힌다.

보훈부 안팎에서는 새 장관의 제청권이 작동할 경우 김 관장 거취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임 정부 인사에 대한 교체가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여권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병존하는 분위기다. 권 후보자는 이날 “보훈은 과거를 기리는 일인 동시에 국민 통합의 상징이어야 한다. 어떤 인사를 통해 그 가치를 실현할지는 장관의 제청 책임”이라고 밝혔다. 인사 결정의 무게감과 역사관의 균형이 새 정부 보훈정책의 출발점에서 시험대에 올랐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