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장, 그동안 침묵 깨고 공식입장 밝혀
충북, 범도민 대책위 발족 등 파상공격 예상

<속보>-“KTX 세종역 신설은 충청권 균형발전에 도움 될 것입니다. 반드시 추진할 것입니다.”

이춘희 세종시장이 KTX 세종역 신설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혀 주목되고 있다.<본보 10월 26일 13면 보도 - KTX 세종역 신설 찬·반 논란 속 세종시민 “꼭 필요”>

그동안 이 시장은 세종역 설치에 관해 민주당 이해찬 의원과 공조적인 입장만 취해왔으나, 공식적인 의사를 밝히며 전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충북과 공주 등에서 반대 입장을 펴며 강력하게 저지운동을 벌이는 동안 수면위로 드러나지 않고 관망하는 자세를 보여 왔던 것. 이 같은 침묵을 깨고 반대 입장에 대해 정면 돌파를 시도하는 발언을 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이춘희 시장, 정면돌파 시도

이 시장은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에서 충북권의 반대 입장에 대한 반박과 당위성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이 시장은 먼저 충북 오송역의 위상이 약화된다는 주장에 대해 “세종역이 신설되더라도 오송역의 위상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 이유로는 “수서발 KTX 운행이 시작되면 차량이 증편돼 세종역에 열차가 일부 서더라도 오송역에 정차하는 횟수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종시가 실질적 행정수도로 발전하는 것이 충청권 균형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세종역이 설치된다 하더라도 충북 지역주민들이 굳이 세종역을 이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충청권 공조가 약화된다는 주장도 일축했다.

또 충북 측은 오송역과 세종역 간 거리가 22㎞에 불과해 KTX가 저속철이 될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 때문에 저속철 전락 주장에 대해서는 오송역에 서는 열차는 굳이 세종역에 서지 않아도 된다며 번갈아 서면된다고 주장했다.

5000억에 달하는 국가 예산의 낭비 지적에는 “세종역을 간이역으로 설치하면 500억~800억 원가량 예상된다”며 간이역 설치를 주장했다.

일부 공무원들을 위한 세종역 건설이라는 지적에 대해 “세종시는 기본적으로 행정도시, 행정수도로 만들어가는 도시”라며“핵심 기능을 원활하게하기 위해 편리하게 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세종역 설치는 세종시민을 비롯한 충청민들의 편의를 위해 설치돼야 한다”며 “타당성 조사 결과가 부적합하게 나와도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못 박았다.

설치시기는 세종시 인구가 40만 명에 달하고 대전 서북부 지역을 포함하면 총 100만 명의 인구 예상되는 2020년 이전에 설치하는 것으로 내다봤다.

◆ 충북 측, 오송역-세종역 22㎞ 불과 저속철 주장

반면 ‘KTX세종역’ 신설 당사자인 이 시장이 “꼭 설치하겠다”며 공식 입장을 밝히자 충북도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그동안 충북도는 민·관·정이 하나로 뭉쳐 잇따라 궐기대회를 갖고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을 항의방문하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해왔다.

이 시장의 이 같은 입장을 밝힌 다음날인 11일 충북NGO센터에서 ‘KTX세종역 신설 백지화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가 창립총회를 열고 본격적인 저지 운동에 돌입했다.

이에 앞서 이시종 지사도 최근 도의회 시정연설에서 “충북도는 KTX세종역을 저지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 있다”며 전 도민이 참여하는 강력한 저지 의사를 피력했다.

KTX 세종역을 둘러싸고 “세종시민과 충청 민들을 위한 시설”을 반드시 추진하겠다는 이 시장과 이를 저지하겠다는 충북도와 충돌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