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노선 90% 지상화 방식 채택
대전시가 도시철도2호선 1단계 구간을 유성4가로 사실상 확정했다.
전체노선의 90% 가량은 고가 방식의 지상화를 택했다.
시는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통과를 위해 당초 정부청사에서 끝나는 안도 검토했지만, 지상화 구간을 확대할 경우 노선 연장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대덕구와 김창수 의원 등이 요구했던 회덕역이나 대전조차장역 경유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3일 오후 3시 시청 대강당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도시철도 기본계획 변경(안) 시민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날 공청회는 한국교통연구원(KOTI)의 연구내용 발표에 이어 전문가, 교수, 시민단체 대표 등으로 구성된 패널들의 토론회 등으로 진행된다.
시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은 지난 4월 고시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충청권 철도망 계획을 반영, 진잠~서대전네거리~중리네거리~정부대전청사~유성네거리(28.6㎞)까지 1단계, 유성네거리~진잠(7.4㎞)까지 2단계로 나눠 추진할 계획이다.
1단계 구간 28.6㎞ 중 지하구간은 대동천~동부네거리 3㎞로 전체 노선의 90%에 해당하는 25.1㎞가 지상에 건설된다. 차량은 소음과 진동이 비교적 적고 국토부가 국내 실용화사업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자기부상열차(경량전철)로 정했다.
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 기본계획을 확정해 이달말까지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으로 예타에서 통과되면 2014년 2호선 공사에 착공해 2019년 개통하게 된다.
이번 예타에는 1단계 구간만 신청한다.
대전시의 이 같은 도시철도2호선 건설 계획 잠정 확정안에 대해 대덕구 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의 반발도 예상된다.
곽인상 대덕발전구민위원회 회장단은 이날 대전시를 방문, 종전 대덕구 경유 노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시에 전달했다.
또 지난달 31일 도시철도2호선 도입 원점재검토 성명을 발표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공청회에 앞서 3일 시청에서 “고가 경전철 도입 논의를 중단하고 수송효율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정책결정이 이뤄져야 한다”며 도시철도 2호선 도입에 반대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대덕구 주민들과 김창수 의원의 요구는 물론 공청회를 통해 나오는 요구사항은 이달 말 정부 예타 신청 전까지 충분하게 검토할 계획”이라면서도 “2호선 건설에 대한 전면 재검토 요구는 현재로서는 고려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