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기사보내기 SNS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바로가기 메일보내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블로그(으)로 기사보내기 핀터레스트(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닫기
#1. 삼계탕의 대추와 인삼 먹으면 안 좋다? 대추와 인삼은 중금속을 빨아들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먹으면 좋지 않다는 속설이 있는데 한의학에선 ‘닭을 비롯한 삼계탕의 주 재료들의 경우 해롭거나 독이 있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이 같은 속설은 과장됐다’고 말한다. 특히 대추의 경우 자체 단맛으로 신경 안정 효과를 주고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삼계탕 속 인삼을 먹을지 말지 고민하는 경우도 많은데 어차피 인삼 속 유효성분들은 조리과정에서 국물로 우려져 나오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이 인삼을 먹을지 말지는 단순히 식이섬유를 섭취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다. 황기는 땀 배출을 억제하도록 해주고 밤과 율무는 음기를 보충해줘 잠이 부족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은행은 폐를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기관지가 약한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2. 삼계탕 7문 7답 삼계탕은 모든 체질에 다 맞을까? - 닭과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식품이다. 체질적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인삼보다 황기를 넣거나 차가운 성질인 녹두를 더해 몸 속의 열을 다스리는 것이 좋다. 여성은 수족냉증, 생리불순, 빈혈, 변비에 효과가 있는 당귀를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중복] 복날 마주하는 끊임없는 논란, 보신탕 #4. [중복] 복(伏)의 귀환, 삼복더위의 시대상 #5. [중복] 보신(補身)의 트렌드가 바뀐다 최근에는 ‘소고기 보신탕’까지 등장했다. 보신탕의 주재료인 개고기 대신 소고기를 넣고 끓여낸 것으로 개고기 논쟁이 확산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요리다. 세종시 보람동의 한 소고기보신탕집은 최근 폭염이 이어지면서 남녀노소 가족단위의 손님로 북적이고 있다. 특히 세종시의 경우 평균 연령대가 낮은 가운데 신도심권에 전통 보신탕집이 없다는 점에서 이 곳을 인기는 더더욱 커져가고 있다. #6. [김충남의 힐링고전] 무술년(戊戌年)의 삼복(三伏) ▲ 삼복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 삼복(三伏)을 정할 때 왜 경일(庚日)로 했으며 또한 숨을 복(伏) 자를 썼는가. ▲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것은….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금강일보 opinion@ggilbo.com 다른기사 보기 SNS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기사 댓글 0 댓글 접기 댓글입력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 내용입력 비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로그인 옵션 창닫기 추천기사 [오늘의 금값시세] 11월 26일 금시세(순금·24k)는? [오늘의 운세] 26일 수요일 나의 운세는? 노타 주가, 급등... 호재는?
#1. 삼계탕의 대추와 인삼 먹으면 안 좋다? 대추와 인삼은 중금속을 빨아들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먹으면 좋지 않다는 속설이 있는데 한의학에선 ‘닭을 비롯한 삼계탕의 주 재료들의 경우 해롭거나 독이 있는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이 같은 속설은 과장됐다’고 말한다. 특히 대추의 경우 자체 단맛으로 신경 안정 효과를 주고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삼계탕 속 인삼을 먹을지 말지 고민하는 경우도 많은데 어차피 인삼 속 유효성분들은 조리과정에서 국물로 우려져 나오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이 인삼을 먹을지 말지는 단순히 식이섬유를 섭취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다. 황기는 땀 배출을 억제하도록 해주고 밤과 율무는 음기를 보충해줘 잠이 부족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은행은 폐를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기관지가 약한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2. 삼계탕 7문 7답 삼계탕은 모든 체질에 다 맞을까? - 닭과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식품이다. 체질적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인삼보다 황기를 넣거나 차가운 성질인 녹두를 더해 몸 속의 열을 다스리는 것이 좋다. 여성은 수족냉증, 생리불순, 빈혈, 변비에 효과가 있는 당귀를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중복] 복날 마주하는 끊임없는 논란, 보신탕 #4. [중복] 복(伏)의 귀환, 삼복더위의 시대상 #5. [중복] 보신(補身)의 트렌드가 바뀐다 최근에는 ‘소고기 보신탕’까지 등장했다. 보신탕의 주재료인 개고기 대신 소고기를 넣고 끓여낸 것으로 개고기 논쟁이 확산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요리다. 세종시 보람동의 한 소고기보신탕집은 최근 폭염이 이어지면서 남녀노소 가족단위의 손님로 북적이고 있다. 특히 세종시의 경우 평균 연령대가 낮은 가운데 신도심권에 전통 보신탕집이 없다는 점에서 이 곳을 인기는 더더욱 커져가고 있다. #6. [김충남의 힐링고전] 무술년(戊戌年)의 삼복(三伏) ▲ 삼복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 삼복(三伏)을 정할 때 왜 경일(庚日)로 했으며 또한 숨을 복(伏) 자를 썼는가. ▲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것은….
기사 댓글 0 댓글 접기 댓글입력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 내용입력 비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로그인 옵션 창닫기